카테고리 없음

인터넷(구글)에서 컴퓨터 비젼관련 자료 찾기

세모아 2009. 3. 3. 13:13
from: http://wrldvsn.springnote.com/pages/902212

이 글은 일전에 한국의 opencv 동호회(www.opencv.co.kr)에 올렸던 글입니다. 컴퓨터 비젼 관련 자료 서치에 초점을 맞춘 글이지만

다른 자료를 찾을때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직껏 공부하는 학생이라서 아카데믹한 논문이나 문서 찾는 방법이 많이 중요합니다.

다른 분들도 댓글로 호응좀 해주셨으면 좋겠네요. 자신만의 노하우를 좀 나누었으면 합니다.

 

나름 생각한 바를 몇개 적어보렵니다. 대부분 영문 문서를 찾는 방법입니다.

 

1. google 에서 keyword를 "tutorial"를 넣어서 문서를 찾으면 논문보다는 좀더 쉬운 문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pdf 문서들이 많이 걸리구요, 논문보다는 학생들에게 좀더 쉽게 설명하고자 하는 문서들을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문서중 tutorial on PCA도 금방 걸립니다. 그외에 tutorial + gabor filter 뭐 이런것도 잘 걸리구요...

   검색어로 ppt, pdf를 넣으면 웹문서보다 document가 더 잘걸립니다. 이런 문서는 설명이 충실한 것이 많습니다.

   추가) introduction, note + 키워드로 해도 많이 걸린다네요.

 

2-1. google keyword : matlab + 내용

   이미지 프로세싱을 하다보면 매트랩으로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을 끝내고 그것을 실제로 구현(openCV)하는 경우를

   많이 알게 됩니다. 매트랩 코드는 서치하면 잘 나옵니다.

 

2-2. http://www.mathworks.com/matlabcentral/

      2-1번에 추가하여 매트랩코드는 matlab centeral에서 구하면 좀더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도큐먼트가 부실한 것도 있긴 하지만 어려운 코드까지도 찾을 수 있는 편입니다.

 

 

2-3 http://newsreader.mathworks.com/WebX?14@@/comp.soft-sys.matlab

     혹은 구글 그룹에서  http://groups.google.com/ 

      matlab은 또한 뉴스그룹에서도 많이 토론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프로세싱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은 각종 웹게시판들때문에 활동이 줄은 편이지만 그래도 어느 웹게시판보다 방대한 자료가 저장되어 있고

     영어로 질문이 가능하다면 꽤나 좋은 토론 혹은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문 구글을 통해서 가면 편합니다.  http://groups.google.com/ 

     이곳에서 검색을 하면 몇년이 지난 토론 내용도 볼 수 있고, 외국의 동일 업종 사람들도 알고 친분을 쌓을 기회도 얻을 수 있습니다.

 

4. 이미지 프로세싱에 관련된 주요 저널들을 뒤져봅니다.

저는 미국대학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모든 저널에 접속이 아주 쉽습니다.

한국도 비교적 대학들이 한정적이지만 계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접속하는 방법을 어떻게는 알아서 이용하시는게

좋을 것입니다. 웬만하면 대학에서 제공합니다. 도서관을 가서 하는 한이 있더래도...

 

출처는 3D computer vision 책에서 추천하는 저널입니다.

SD는 Science Direct의 약자입니다.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IEEE Transactions on"
"Image Processing, IEEE Transactions on"
"Man and Cybernetics, Part B, IEEE Transactions on"
"Vision, Image and Signal Processing, IEE Proceedings-"
"Image and Vision Computing , Science Direct"
"Computer Vision and Image Understanding , SD"
"Pattern Recognition , SD"
"Pattern Recognition Letters , SD"
"Artificial Intelligence , SD"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 in Springer LINK "
"Machine Vision and Applications , SpringerLink"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Optics and image science, in Optical Society of America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America. A, Optics, image science, and vision , in Optical Society of America "
"Biological cybernetics , SpringerLink"
Neural computation - MIT Cognet Lib

 

 

주의 사항은 IEEE Explorer 같은 논문 서치 페이지에서 컨퍼런스 페이퍼까지 검색을 하면 데이터가 너무 많이 나옵니다.

그리고 컨퍼런스 페이퍼는 디테일한 내용을 다루지 않습니다.

따라서 디테일한 내용 및 아이디어를 추론하고 싶으면 저널 검색만으로도 충분하고

컨퍼런스는 그냥 현재 트랜드 정도만 읽는 다는 기분으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컨퍼런스 페이퍼들은 잘 보관이 되지도 않고, 학계나 인더스트리나 전부 쳐주지도 않고

저자또한 기억 못하기 일 수 있습니다. 저널만으로 읽고 배울께 넘쳐 납니다.

 

물론 하나의 저널을 찾은 후에  그 논문이 참고한 레퍼런스를 줄줄 따라 다니다보면 끝도 없는 페이퍼의 세계에

몇년동안 헤매가 됩니다. 몇년 읽으면 대략 느낌이 옵니다.

논문의 인용횟수가 논문에서는 젤 중요한 요소인데 web of knowledge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혹은 구글의 아카데미서치 결과는 논문 인용횟수를 검색창에서 제공해 줍니다.

과거 논문 중에서는 인용횟수가 많은 것 위주로 보시고, 최근 논문에서는 트렌드 및 기술, 아이디어를 습득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물론 레퍼런스를 찾아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5.  http://en.wikipedia.org/wiki/Main_Page

   wiki 영문 백과사전에 가면 정말 웬만한 개념을 다 설명되어 있습니다.

   차근히 읽어보기만 하면 됩니다. 반면에 한국 위키백과사전에는 기초적인 내용도 없습니다.

 

6.  http://scholar.google.com/

    영문 구글에는 아카데미라는 항목이 있어서 아카데믹한 문서들만 찾아주는 서치도 됩니다.

    구글의 아카데믹 서치도 좋지만 그냥 구글에서도 전문적인 내용을 넣으면 결과는 비슷한듯 합니다.

    하지만 논문의 인용회수들이 서치 화면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중요한 논문이 무었인지 한번에 알 수 있습니다.

 

7. 가끔은 특허 검색도 유용합니다. 많은 기술적인 내용들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http://www.kipris.or.kr/  - 한국 특허정보 무료검색

                           (?)-        - 외국 특허 정보 검색

   엠파스 특허검색

 

8. 오픈 소스 커뮤니티 : 생각보다 외국 오픈소스 커뮤니티는 방대합니다.

   OpenCV의 야후 커뮤니티도 그렇고 Linux도 그렇습니다. 저는 openCV의 GUI를 QT를 이용하는데

   이쪽도 좋습니다. 그리고 sourceForge와 같은 오픈소스를 뒤져보는 것도 코드를 많이 보는데 도움이 많이 될 듯 합니다.

   그곳의 코드를 보고 있노라면 대단한 내공을 가진 사람이 이렇게 많구나 한숨만 나옵니다.

    http://sourceforge.net/

 

9. 유명 대가의 홈페이지, 혹은 유명 이미지, 비젼, 패턴 인식책의 저자의 홈페이지를 방문합니다.

    자신이 보고 있는 책의 저자 이름으로 검색을 하면 분명 저자는 책의 소개와 더불어 많은 자료를 소개해 놓았을 겁니다.

    답답해 보이는 책도 홈페이지에서 보면 좀 색다른 느낌이겠지요.

 

이상이 생각나는데로 적은것입니다.

한국 논문들에 대해서는  등의 사이트가 생각이 나네요.

 

다른분들의 노하우도 궁금합니다.

 

ACM 은 riss4u에서 검색가능합니다.